칭찬은 아이의 자존감과 동기부여에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그런데 모든 칭찬이 다 좋은 건 아니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어떤 칭찬은 오히려 아이의 발달을 저해하고 부정직한 행동을 유발할 수도 있다고 해요. 오늘은 아이를 키우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칭찬의 두 얼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어떤 칭찬이 독이 될까요?
1. 과도한 칭찬이 주는 압박감
"우리 아이가 최고야!", "넌 항상 잘하잖아?"라는 말, 자주 하시나요? 과도한 칭찬은 아이에게 기대를 충족시켜야 한다는 압박감을 주어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어요. 한 실험에서는 아이들과 대학생들에게 과도한 칭찬을 한 후, 교사가 자리를 비웠을 때 상당수가 답안지를 훔쳐보는 부정행위를 했다고 합니다.
과도한 칭찬을 받은 아이들은 기대에 부응해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에 편법이나 불법도 불사하게 될 수 있어요. 또한 무조건적인 칭찬에 익숙해진 아이들은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평가하는 능력이 약해지고, 점점 외부의 평가에만 의존하게 된답니다.
2. 능력 중심 칭찬의 위험성
"너는 정말 똑똑하구나", "넌 천재야"와 같은 말은 어떨까요? 이런 능력 중심의 칭찬은 일시적으로 아이의 기분을 좋게 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토론토대학교 연구에 따르면, '영리하다'는 칭찬을 받은 아이들은 '잘했다'는 칭찬을 받은 아이들보다 부정행위를 저지를 확률이 더 높았다고 해요.
또 다른 연구에서도 목표 달성에 실패했을 때, 능력을 칭찬받은 사람은 자신이 부족하다며 쉽게 좌절하는 반면, 노력을 칭찬받은 사람은 노력이 모자랐다며 다시 도전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고정 마인드셋 vs 성장 마인드셋
칭찬의 효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스탠퍼드대학교의 심리학자 캐럴 드웩 교수가 연구한 '마인드셋' 개념을 살펴볼 필요가 있어요.
고정 마인드셋(fixed mindset)
능력이 타고나는 것이며 변하지 않는다고 믿는 생각방식이에요. "난 원래 이런 사람이야"라고 생각하는 거죠.
성장 마인드셋(growth mindset)
능력이 노력과 학습을 통해 발전할 수 있다고 믿는 생각방식입니다. "지금은 부족해도 노력하면 나아질 수 있어"라고 생각하는 거예요.
드웩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능력은 변하지 않는다고 믿는 고정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 능력은 얼마든지 발전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는 성장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들이 성공할 가능성이 훨씬 높다"고 합니다.
어릴 때부터 "너는 남들보다 똑똑해"라는 칭찬을 지속적으로 받으면 "나는 원래 똑똑해, 쟤들은 나보다 못 해"라는 고정 마인드셋이 형성될 수 있어요. 이런 고정 마인드셋을 가진 아이들은 실패를 두려워하고 자신의 능력을 증명하기 위해 부정행위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한 연구에서는 '똑똑하다'고 칭찬받은 학생들 중 40%가 자신의 테스트 점수를 거짓으로 높여 보고했다고 해요.
성장을 촉진하는, 약이 되는 칭찬 방법
그렇다면 어떻게 칭찬해야 아이가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을까요? 여기 효과적인 칭찬 방법들을 소개합니다.
1. 과정과 노력을 칭찬하기
효과적인 칭찬의 기본 원칙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을 칭찬하는 것"입니다. 과정 속에서 아이가 애쓴 부분을 찾아 구체적으로 칭찬해보세요.
- "1등 했네, 대단해" (X)
- "매일 열심히 공부하는 너의 모습이 정말 대단해" (O)
과정을 칭찬받은 아이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새로운 도전을 할 수 있는 용기를 갖게 됩니다.
2. 구체적이고 진정성 있게 칭찬하기
"잘했어"라는 막연한 칭찬보다는 "네가 발표할 때 자신감 있는 목소리로 말하는 모습이 정말 멋졌어"와 같이 구체적으로 칭찬하는 것이 좋아요.
실용적인 방법으로 '당구감' 법칙을 활용해보세요:
- 당장 칭찬한다 (해당하는 행동 직후에)
- 구체적으로 칭찬한다
- 감정을 실어 칭찬한다
또한 칭찬의 이유를 설명해 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네가 지난 일주일 동안 엄마와 열심히 노력했다는 것이 정말 자랑스러워. 이제 노력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지?"처럼 과정과 결과의 연결성을 알려주는 칭찬이 효과적이에요.
3. 비교하지 않고 칭찬하기
"네가 반에서 제일 잘한다"라는 말은 얼핏 좋은 칭찬처럼 보이지만, 아이에게 불필요한 부담을 줄 수 있어요. 대신 "네가 지난번보다 많이 발전했구나"와 같이 아이 자신의 성장에 초점을 맞춘 칭찬이 더 효과적입니다.
상황별 효과적인 칭찬 전략
1. 학업 성취에 대한 칭찬
똑똑하고 성적이 우수한 학생일수록 오히려 고정 마인드셋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이런 학생들은 자신의 지능이나 능력에 대한 칭찬을 많이 받아왔기 때문에, 실패를 자신의 가치를 위협하는 것으로 받아들이게 돼요.
따라서 학업 성취에 대해 칭찬할 때는 지능이나 능력보다는 과정과 노력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 "너 정말 똑똑하구나, 역시 우리 아이야!" (X)
- "어려운 문제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해결하려는 모습이 대단해" (O)
2. 창의적 활동에 대한 칭찬
아이 자신이 만족하지 못하는 결과물에 대해 무조건적인 칭찬을 하는 것은 역효과를 낼 수 있어요. 이럴 때는 "참 잘했다"라고 말하는 대신 "열심히 그렸네. 엄마는 네가 뭐든지 열심히 하는 모습이 참 좋다"라고 과정에 대해 칭찬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3. 사회적 행동에 대한 칭찬
아이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칭찬은 즉각적이고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아이가 칭찬받을 만한 일을 하면 그 자리에서 바로 칭찬을 해주세요. 또한 시켜서 한 일보다는 스스로 한 일에 대해 더 많이 칭찬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 "친구가 넘어졌을 때 도와준 네 모습이 정말 자랑스러워. 네가 다른 사람을 배려할 줄 아는 아이라는 걸 보여줬어." (O)
칭찬의 균형 잡기
일관된 칭찬 방식 유지하기
효과적인 칭찬을 위해서는 부모와 교육자들이 일관된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자의 주관적인 판단이나 그때그때 기분에 따라 칭찬을 하거나 야단을 치면 안 됩니다. 일관성은 아이에게 안정감을 주고, 칭찬의 기준을 명확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진정성 있는 칭찬 실천하기
칭찬의 핵심은 진정성입니다. 아무리 좋은 말이라도 진심이 담기지 않으면 그저 빈말에 불과해요. 아이들은 어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예민하게 진정성을 감지한답니다.
진심을 담아 칭찬할 때는 아이의 눈을 보며 따뜻한 미소와 함께 말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목소리 톤이나 표정에서도 진심이 느껴지도록 해보세요.
칭찬으로 아이의 잠재력을 깨우세요
칭찬은 아이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모든 칭찬이 다 좋은 건 아니에요. 과도한 칭찬, 능력 중심의 칭찬, 진정성 없는 칭찬은 오히려 아이의 발달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주세요.
효과적인 칭찬은 아이의 노력과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구체적이며 진정성이 있어야 합니다. 이런 칭찬은 아이의 성장 마인드셋을 발달시키고, 자신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믿음을 심어줍니다.
우리의 칭찬이 아이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생각보다 훨씬 크답니다. 오늘부터 칭찬의 방식을 조금만 바꿔보는 건 어떨까요? 작은 변화가 아이의 평생을 바꿀 수 있습니다!
'육아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를 유튜브 중독에서 지키는 똑똑한 부모 전략 (2) | 2025.05.04 |
---|---|
아이의 '싫어!'에 숨겨진 진짜 마음, 어떻게 읽어줄까? (0) | 2025.05.03 |
디지털 시대, 아이의 스마트폰 사용 어디까지 허용할까? (2) | 2025.05.01 |
질투심 많은 우리 아이, 건강한 성장을 위한 부모 가이드 (2) | 2025.04.30 |
낯가림 심한 아이, 사회성 키워주는 방법 (0) | 2025.04.29 |